삼성전자 주가 전망 및 반도체 시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11월 24일(목) 마감 기준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0.66% 상승한 61,400원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지난 9월 30일 기록한 52주 최저가인 51,800원과 비교하면 주가가 많이 회복되었는데요.
삼성전자 주가가 최근 상승한 이유는 최근 개선된 수급 때문입니다.
지난 10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조 5,059억 원, 449억 원을 순매수하면서 삼성전자의 주가가 상승한 것입니다.
하지만, 지난해 기록한 96,800원은 물론이고, 52주 최고가인 80,800원에도 아직은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가 전망 및 반도체 시황
내년 반도체 불황이 예상됨에 따라 삼성전자의 실적도 좋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지난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신장하였으나 영업이익이 많이 감소하면서 EPS도 하락한 모습입니다.
삼성전자의 올 해 4분기 영업 이익 추정치도 8조 3,921억 원으로 전년 대비 39.4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 해도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가운데, 내년도 전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삼성전자의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반도체 시장 규모는 5,200억 달러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3.7% 감소한 수치입니다. 미국발 금리 인상으로 인한 전 세계 경기 위축 및 침체로 인해 반도체 수요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내년 상반기까지 공급 과잉 상태가 지속되며 11.9% 줄어든 1,325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도체 시장이 바닥을 찍으면 삼성전자의 주가도 반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경쟁사들이 반도체 불황으로 인해 손실을 줄이고자 투자를 축소하고 감산에 들어가는 반면, 삼성전자는 투자 축소 계획이 없기 때문입니다.
메모리 반도체의 재고가 급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다른 기업들이 감산과 설비 투자 축소를 단행하면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삼성전자의 반도체 시장 지배를 더욱 강화함으로 주가에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주가가 현재 52주 최고가에 비해 많이 떨어졌고, 내년 주가 전망도 좋지 않지만, 지난 10년간의 그래프를 보시면 삼성전자의 주가가 많이 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미래 먹거리인 반도체에 집중 투자를 하고 있고,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으니, 지금이 오히려 꾸준히 매입해서 장기 투자하기에 좋은 기회가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본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닌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증시 및 대출금리 전망 (1) | 2022.11.25 |
---|---|
네옴시티 뜻 및 관련주 기업 (2) | 2022.11.25 |
ETF 뜻, 장점, 투자 참고 지표, 위험성 (3) | 2022.11.24 |
2022 카타르 월드컵 한국전 경기 일정 및 치킨 수혜주 (3) | 2022.11.23 |
성장주 vs 가치주 (11) | 2022.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