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하고 기준 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하는 베이비 스텝을 단행하였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및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잡기 위해 사상 처음으로 여섯 차례 연속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금리인상 용어
먼저 금리인상 관련 용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베이비스텝: 0.25% 포인트 인상
2. 빅스텝: 0.50% 포인트 인상
3. 자이언트스텝: 0.75% 포인트 인상
4. 울트라스텝: 1.0% 포인트 인상
미국과의 금리 격차를 줄이기 위해 빅스텝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지만 미국의 통화 긴축 속도 조절 가능성, 안정된 원/달러 환율, 자금 및 신용 경색 우려, 경기 침체 등을 고려해 베이비스텝을 밟았습니다.
증시 및 대출금리 전망
24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23.32p(0.96%) 오른 2,441.33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지수는 전장보다 19.50p(0.81%) 오른 2,437.51로 출발해 오전 중 2,430선 밑으로 잠시 내려가기도 했지만, 오후 들어 상승 폭을 키우며 2,440대로 올라섰습니다.
코스닥도 전 거래일 종가보다 12.63p(1.74%) 오른 738.22로 장을 마쳤습니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82p 오른 729.41로 출발했으나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를 등에 업고 점점 상승 폭을 키워 740선 부근까지 바짝 다가섰습니다.
금통위가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3.00%인 기준금리를 3.25%로 0.25% p 올리기로 했지만 이미 시장에서는 예상했던 결과이기 때문에 증시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못했고, 오히려 불안정성이 해소되면서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베이비스텝 인상으로 인해 전체 대출자의 이자 부담액이 약 3조 3천억 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데다가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서 영끌족들의 이자 부담은 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은 올해 12월 한 차례 FOMC 미팅을 남겨두고 있기 때문에 미국이 FOMC 미팅에서 금리를 얼마나 인상하는지에 따라서 향후 국내 기준금리 기조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이 연말 증시에 선물을 안겨줄지 악재를 안겨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 계약 확정일자 받는 법 (0) | 2024.02.02 |
---|---|
ETN(상장지수증권) 뜻, 장점, 투자 참고 지표, 위험성 (4) | 2022.11.28 |
네옴시티 뜻 및 관련주 기업 (2) | 2022.11.25 |
삼성전자 주가 전망 및 반도체 시황 (4) | 2022.11.24 |
ETF 뜻, 장점, 투자 참고 지표, 위험성 (3) | 2022.11.24 |
댓글